내장산의 만추
저물어 가는 올 가을도 얼마 남지 않은 것 같다
떠나가려는 마지막 가을의 끝자락이라도 잡기 위해 내장산을 찾았다
때가 지난 듯 하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는 내장산은
사람의 내장처럼 꼬불꼬불하다하여 내장산이라 명명된 것이지만
내장(內藏))이라는 이름 값이 산 정상에는 부끄럽게
11월 하순을 맞이하여 이미 가뭄에 힘겨워 나무 잎들이 떨어져 휘날리고
외장(外藏)만이 등산객들을 맞이 하려고 화장을 진하게 하고 더 화려하게 데뷔하고 있다.
올해 내장산은 그놈의 가뭄때문에 내장보다는 외장이 더 인기가 있는 가 보다
모두가 밖에 진을 치고 단풍구경을 하고 있으니 말이다
금년 단풍을 화려하리라고 기대했던 것이 우리의 희망사항이었던가
유달리 심했던 가을 가뭄이 가을 산을 마지막 장식하는 나무들에게 고통을 주고 있다
사람도 적당한 유두리가 있어야 세상사는 맛이 있듯이
단풍도 적당히 물기를 머금고 옷을 입어야 오색찬란한 빛을 발할 수 있었는데
가을 걷이도 제대로 못할 정도의 가을 비는
겨울로 가는 나무들의 화려한 외출을 잡아두고 남음이 있었다
이번에는 내장의 외장만 스케치 했다
사람들이 다하지 못한 단풍구경을 차들이 다하고 있다.
내장저수지를 좌로 끼고 진입하는 우회도로와
내장에서 다시 구길을 따라 저수지를 동행하고 오는 길에 핀 단풍이
마지막 떠나는 내장산의 단풍을 자랑한다.
우리의 인생이 이랫으면 좋겠다
한살이라도 더 먹을때마다 추하지 않고 화려해지는 자연처럼...
그리고 훌훌 걸친 옷을 벗어 던지고 자연을 숭고이 받아 들이는 자연처럼...
거뜬히 길고 추운 겨울을 나고 새로운 싹 돋아 새 삶을 살아가는 자연처럼...
바람부는대로 비내리고, 눈내리는대로 내색하지 않고 껴안고 사는 자연처럼...
명예, 돈, 높은 자리도 탐내지 않는 유유자적 자연처럼...
그러나 산이 높아질수록 겨울을 맞으려는 듯 훼성한 모습을 하고 있어
낮은 곳에만 가는 가을을 아쉬워 하는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