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추령 장승축제

goldenfiber 2006. 11. 19. 20:00

 

장승은 돌로 만든 석장승과 나무로 만든 목장승이 있으며, 전국에 분포한다.

장승의 기원에 대해서는 고대의 성기(性器) 숭배에서 나온 것,

장생고(長生庫)에 속하는 사전(寺田)의 표지(標識)에서 나온 것,

목장승은 솟대[蘇塗]에서, 석장승은 선돌[立石]에서 유래한 것이라는 등의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확실한 기원은 알 수 없다.

장승의 명칭도 여러 가지인데,

조선시대에는 한자로 '후(堠)', '장생(長栍)', '장승(長丞, 張丞,長承)' 등으로 썼고,

지방에 따라 장승·장성·벅수·법수·당산할아버지·수살목 등의 이름이 있다.

 

장승의 기능은

첫째 지역간의 경계표 구실,

둘째 이정표 구실,

셋째 마을의 수호신 역할이다.

길가나 마을 경계에 있는 장승에는 그것을 기점으로 한 사방의 주요 고을 및 거리를 표시하였다.

수호신으로 세운 장승에는 이정표시도 없으며, '천하대장군'류의 표시도 없고 마을의 신앙 대상으로서 주로 액병(厄病)을 빌었다.

장승은 보통 남녀로 쌍을 이루며, 남상(男像)은 머리에 관모를 쓰고 전면에 '천하대장군(天下大將軍)', '상원대장군(上元大將軍)'이라 새겨 있으며,

여상(女像)은 관이 없고 전면에 '지하대장군(地下大將軍)', '지하여장군(地下女將軍)', '하원대장군(下元大將軍)' 등의 글이 새겨 있다.

 

장소에 따라 채색·형상·크기 등이 다르나 모양이 괴엄(魁嚴)한 점만은 일치한다.

장승에 쓰는 장군명에는 민속적인 신명(神名)이 등장하는데

동쪽에 있는 장승에는 동방청제축귀장군(東方靑帝逐鬼將軍),

서쪽에는 서방백제축귀장군(西方白帝逐鬼將軍),

남쪽에는 남방적제축귀장군(南方赤帝逐鬼將軍),

북쪽에는 북방흑제축귀장군(北方黑帝逐鬼將軍)이라고 써서 세워,

축귀하는 민간 신앙의 성격을 나타낸다. 뿐만 아니라

장승을 서낭당·산신당·솟대와 동등한 것으로 인정하며,

액운이 들었을 때나 질병이 전염되었을 때에는 제사를 지냈다.

(네이버에서)

 

이맇듯 장승은 여러 의미가 있다

지금은 그 의미가 퇴색되고 문화 축제로 이뤄지고 있으나 일부의 경우 종교적 갈등을 야기하기도 한다

 

장승 축제는 전국 여러곳이 있겠지만

내장산에서 순창으로 넘어 가는 길목에서 개최되는 '추령 장승축제'는 벌써 열 두살 백이축제로 자리잡고 있어 유명하다

내장산도 관광하고 장승도 구경하는 기회를 가져 봄즉 하다

 

 

이곳의 장승들의 모습은 여러 종류이다

고유의 모습을 간직한 장승이 있는가 하면 익살스런 현대판 장승도 있다.

 

 

 험상궂은 장승 옆에 비키니 장승도 있다

 

 남자의 상징

 

 

 돼지 장승 - 돼지의 윙크

 각시와 서방

 노인장승

 

 말띠 장승

 뱀띠장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