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성서원
정읍시 칠보면에 위치한 무성서원
이 건물은 신라말(新羅末)의 유현(儒賢)인 고운 최치원(孤雲 崔致遠)과 조선(朝鮮) 중종(中宗)때 태인현감(泰仁縣監)이었던 신 잠(申 潛)을 향사(享祀)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원래는 태산서원(泰山書院)이라 하던 것을 숙종(肅宗) 22년(1696)에 사액(賜額)됨으로써 무성서원(武城書院)이라 하게 되었다.
사우(祠宇)에는 최치원(崔致遠)을 비롯하여 신 잠(申 潛), 정극인(丁克仁), 송세림(宋世琳), 정언충(鄭彦忠), 김약묵(金若默), 김 관(金 灌) 등의 향현(鄕賢)을 배향(配享)하였다. 현존 건물로는 현가루(絃歌樓)를 비롯하여 강당(講堂), 동서재(東西齎), 사우(祠宇), 비각(碑閣) 등이 있다.
사우는 성종(成宗) 15년(1484)에 세워진 것이나 헌종(憲宗) 10년(1844)에 중수(重修)되었고, 강당은 순조(純祖) 25년(1825)에 불에 타 없어진 것을 순조(純祖) 28년(1828)에 중건하였다. 이 서원에는 성종(成宗) 17년(1486) 이후의 봉심안(奉審案), 강안(講案), 심원록(尋院錄), 원규(院規) 등의 귀중한 서원 연구자료가 보존되어 있다.
신라(新羅)시대 대문호(大文豪)이며 정치가(政治家)였던 고운 최치원(孤雲 崔致遠)이 신라 정강왕(定康王) 1년에 태산군수(泰山郡守: 지금의 泰仁)로 와서 있는 동안 치적(治積)이 뛰어나서 군민의 칭송을 받다가 합천(陜川)군수로 떠나게 되니 그를 흠모하는 나머지 선생의 생전(生前)에 월연대(月延臺: 지금의 칠보면 무성리 성황산의 서쪽 능선)에 생사당(生祠堂: 생존하고 있는 사람을 모시는 사당)을 세우고 태산사(泰山祠)라 부른 것이 시초였다.
이 사당은 고려(高麗) 말에 훼파(毁破)되었다가 조선(李朝) 성종(成宗) 14년(1483. 정극인 선생 사후 2년)에 유림(儒林)들의 발의로 월연대에서 지금의 자리로 옮겼으며 지금의 그 자리에는 불우헌 정극인(不憂軒 丁克仁)이 창설한 향학당(鄕學堂)이 있었다는 전설도 있다.
그 뒤 조선 중종 39년(1544)에 태인 현감(泰仁 縣監)이던 영천 신 잠(靈川 申潛)이 부임하여 7년 동안 선정(善政)을 베풀다가 동 서 남 북 학당(東 西 南 北 學堂)을 세우는 등 많은 치적을 남기고 명종 4년(明宗 1549)에 강원도 간성(杆城)군수로 이임하니 역시 주민들이 그를 사모하여 생사당(生祠堂)을 세우게 되었다.
숙종 22년(肅宗 1696)에 무성(武城)이라는 사액(賜額)을 받아 이 두 사당(祠堂)을 병합하여 무성서원(武城書院)이라 했으며, 삼현(三賢)을 더 모시다가 뒤에 두 분을 더 모시니 칠 현(七賢)을 더 배향(配享)하게 되었다. 배향된 분은 고운 최치원(孤雲 崔致遠), 영천 신 잠(靈川 申潛), 불우헌 정극인(不憂軒 丁克仁), 눌암 송세림(訥菴 宋世琳), 묵재 정언충(默齋 鄭彦忠), 성재 김약묵(誠齋 金若默), 명천 김 관(鳴川 金 灌) 등이다.
그 뒤 정조(正祖) 8년(1784)에 쌍계사(雙溪寺)로부터 최치원의 영정(影幀)을 모시었다. 이 서원은 고종(高宗) 5년(1868)에 대원군(大院君)의 서원 철폐령(撤廢令)에 의해서 위기 에 처했으나 당시의 현감, 유림(縣監, 儒林) 등이 청원하여 화를 모면했을 뿐 아니라 전라도(全羅道)의 철폐령에서 제외된 세 개(三個) 서원으로 필암(筆巖), 포충(褒忠), 무성(武城)서원 중 하나이고 원노(院奴) 30명, 세미(稅米) 3결(結: 약 9,000평)을 보조 받기에 이 르렀다.
현재 건물로는 사우(祠宇) 3칸, 명륜당(明倫堂) 5칸, 현가루(絃歌樓) 2층 3칸, 장수재(莊修齋) 4칸, 흥학당(興學堂) 4칸, 서호순비각(徐灝淳碑閣) 1칸, 고사(庫舍) 3칸 등이며 1992 년에 병오창의기적비(丙午倡義紀蹟碑)를 김성년(金成淵) 정읍군수(井邑郡守)가 세웠다. 문루(門樓)인 현가루(絃歌樓)는 원주(圓柱)를 세운 2층으로 된 기와집이며 문을 들어서면 정면 5칸, 측면 2칸의 강당(講堂)이 있고 3칸 대청(大廳)과 그 좌우에는 단칸의 협실(夾室) 이 있으며 동서재(東西齋)인 강수재(講修齋)와 흥학재(興學齋)가 있었으나 현재는 강수재만 남아 있다.
사우는 성종 15년에 지었으나 현재의 것은 1844년에 중수한 것이며 강당은 1825년에 불에 타 없어졌던 것을 1828년에 다시 지은 건물이다.
동서재(東西齋)도 숙종(肅宗)때 건립하였으나 현재의 건물은 그 뒤 중수한 것이다. 사우(祠宇)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것의 하나이며 이 서원에는 성종(成宗) 17년 (1486) 이후의 봉심안(奉審案), 강안(講案), 심원록(尋院錄), 원규(院規) 등의 서원연구(書院硏究)의 자료가 보존되어 있다.(정읍시 홈)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앞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