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아산시 염치읍에 위치 하고 있는 현충사
본전 삼문
구 본전
유물관
본전에서 바라 본 홍살문
복원된 고택
활터
본전으로 이르는 길
충무공 이순신장군의 영정을 모신 사당이 있는 곳
언제부터 가고 싶었던 곳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현지를 방문한 것은 기대에 이르지 못한 기분이다
이 곳은 공이 커 왔던 고택이 있던 마을 주변으로서 야산이 둘러앉아 경내는 자리를 잘 잡고 있었으나 찾는 이들에게 보여 줄 선물이 없어 보인다
다행히 충무공 기념관을 현재 짓기 위해 한참 공사중에 있긴 하지만 평소 간접적으로 알고 있는 성웅 이순신 장군의 사당은 을씨년 스럽다
이 사당 충무공이 순국한지 108년이 지난 뒤 지역 선비들이 뜻을 모아 조정에 건의하고 당시 조선조 임금이었던 숙종 32년(1706)에서야
공의 얼을 기리기 위하여 사당을 세웠으며, 구 한말에는 서원 철폐령에 따라 자취를 갖추었다가 일제 치하에서 이충무공보존회와 동아일보가 주관이 되어 1932년 국민성금으로 구 본전이 중건하고 1966년 ~74년에는 정부의 대대적인 현충사 성역화사업에 따라 본전과 유물관, 고택 등이 중건하고 조경공사를 하여 오늘의 경관을 갖추게 되었다
공은 본디 서울 건천동 태생이나 외가가 있던 이곳에서 유년 시절을 커오면서 관료로서 발을 디디게 된다
늦깍이 32세가 되어서야 식년 무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첫 관직을 한 이래
함경도 동구비보권관, 발포수군만호등을 거쳐 전라도조방장, 선전관, 정읍현감을 역임하였으며
유성룡 천거로 절충장군 진도군수, 그후 전라좌도수군절도사 좌우영에 부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혁혁한 공을 세우기 사작한다
옥포대첩과 사천에서 거북선을 처음사용하는 사천포 해전을 승리로 이끌고 한산도 대첩, 명량대첩 등의 해전에서 명성을 남겼다
불행히도 1598년(선조 31) 54세의 나이로 노량해전에서 적군의 유탄에 맞아 전사하였다
현충사 유물관에는 국보 제76호로 지정된 난중일기, 서간첩, 임진장초 등과 장검 2자루, 도배구대(桃盃俱臺) 1쌍, 옥로(玉鷺), 요대(腰帶) 6점, 무과급제 교지, 사부유서(賜符諭書), 증시교지(贈諡敎旨), 각종 무기, 거북선 모형 등이 전시되어 있다.
공의 묘소는 이곳과 9km정도 떨어진 음봉삼거기 어라산에 자리잡고 있다.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주 공산성(公山城) (0) | 2009.03.01 |
---|---|
섬진강 기차마을 (곡성) (0) | 2009.01.17 |
군산철새 도래지, 금강호 (0) | 2008.11.16 |
신성리 갈대숲0811 (0) | 2008.11.16 |
2008 강천산 (0) | 2008.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