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워낭소리'는
때 묻지 않고 가식이 없는 순수한 고향과 자연보존과 환경을 생각케 한다
누구나 영화배우가 될 수 있다는 희망을 주고
시골의 노인문제를 생각하게 하면서
사람의 삶 자체가 집에서 키우는 가축과 함께하는 삶을 노래하고 있다.
그리고 역동성과 스릴, 규모면에서 대작을 기대하는 관객에게는 실망을 주기 십상이다.
'워낭소리'
전라도 말로는 어릴적 '소 핑경'이라고 했다
어원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소의 풍경'이라는 뜻이 아니었을까
팔순 농부와 마흔 살 소, 삶의 모든 것이 기적이었다.
평생 땅을 지키며 살아온 농부 최(최완규)노인에겐 30년을 부려온 소 한 마리가 있다.
소의 수명은 보통 15년, 그런데 이 소의 나이는 무려 마흔 살.
살아 있다는 게 믿기지 않는 이 소는 최노인의 베스트 프렌드이며, 최고의 농기구이고, 유일한 자가용이다.
시장에 나가든 밭에 나가든 늘 든든한 벗이자 동반자이다. 그래서 이 할머니는 투정아닌 투정을 부릴때도 있다
귀가 잘 안 들리는 최노인이지만 희미한 소의 워낭 소리도 귀신같이 듣고 한 쪽 다리가 불편하지만 소 먹일 풀을 베기 위해 매일 산을 오른다.
심지어 할머니(이삼순) 계속된 요구에도 소에게 해가 간다며 논에 농약을 치지 않는 고집쟁이다.
소 역시 제대로 서지도 못 하면서 최노인이 고삐를 잡으면 산 같은 나뭇짐도 마다 않고 나른다.
그러던 어느 봄, 최노인은 수의사에게 소가 올 해를 넘길 수 없을 거라는 선고를 받지만
그렇지만 최 노인은 절대 믿지 않고 사실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다.
그러면서 주위에서 소 처분을 권유하자 우시장에 끌고 가지만 노쇠한 소는 제값을 받을 수 없게되자 다시 끌고 집에 돌아 온다
그러던 와중에 새끼밴 일소를 한마리를 구입하게되는데 새끼를 낳자 최노인과 친구였던 소는 새로 사온 소에게 그동안 정들었던 외양간을 맡기고
밖으로 쫓겨나와 비를 맞으면도 묵묵히 마당에 메여 있다
새로 구입한 소를 코뚜레를 뚫고 길을 들이기 위해 노력하지만 여의치 않자 포기하고 노쇠한 소와 친구하며 구진일을 계속해서 한다
걷기 조차 힘든 소, 어느 날 아침에 쓰러져 다시 일어 나지 못하는 소를 발견하고 일으켜 세우려 하지만 다시는 일어 나지 못한다
이에 한마디 벧는 말 ' 에이씨'
이웃고 40년을 산 소는 생을 다하고 조용히 눈을 감는다
'좋은데 거거라이...
소 무덤과 소달구지 자욱이 남아 있는 밭을 바라보는 최 노인의 모습이 오가며 영화는 막을 내린다
감독 이충렬, 할아버지 최원규, 할머니 이삼순...
그리고 동네사람, 봉화 사람들이 출연진이자 연기자이다
이 영화는 그 흔하고도 많은 영화를 홍보하는 홈페이지도 없다
영화 '워낭소리'를 보면서 몇가지 느낀점이 있다
첫째, 어릴적 내가 살던 고향도 그랬다.
우둔하리만치 들일을 고집하는 부모님, 80이 넘어 90이 되어서도 손에서 농기구를 놓지 못했다
지금으로부터 40년전 고향의 기억이 이 영화를 통해서 다시 피어 나고 있었다
가식과 꾸밈이 전혀 없는 모습, 불과 30여년전 우리 동네를 영화처럼 펼쳐 졌다
소 코뚜레를 뚫고, 소를 길 들이기 위해 큰 나무로 만든 가상 달구지를 동네며, 자갈도로를 끌는 연습도 같다
시골 우리집도 소를 키우는 외양간이 있었다
당시 소 한마리면 살림 밑천이었고, 형들은 소 한마리 팔아서 분가하기도 하였는데
소는 주로 아버지가 다루고 밭갈이 할때는 할아버지도 같이 하였다
가을이면 소달구지(어릴적 '구루마'라고 불림)를 타고 벼단을 실어 나르기도 하고, 방앗간에 가기위해 벼가마를 실고 가기도 하였다
둘째, 이 영화에서 자연보존과 환경을 생각할 수 있다
최 할아버지는 남들이 다 살포하며 농사 짓는 농약도, 밭에 제초제도 사용하지 않는다고 고집한다
또한 수없이 사료를 사 먹이자며 조르는 할머니의 요구도 묵살된다
농약 묻은 들풀을 소가 먹으면 소가 죽는다는 단순한 논리지만
시쳇말로 친환경 농업을 고집한 거라고 표현하고 싶다.
물론 최할아버지가 경제적인 것 때문에 무농약과 무사료를 고집했겠지만
촌노의 동물 사랑과 환경을 생각하는 마음을 엿 볼 수 있다
셋째, 주연 최원규 할아버지, 이삼순 할머니
달리 대본도 필요없고, 분장도 필요 없다
평소 하는대로 나오는대로 대사를 하면되고, 옷가지는 주어 입은 대로 연기(?)에 들어가면 된다
귀찮은 소를 두고 '팔어' '안팔아'
소가 천천히 간다고 투정하자 최노인은 한마디로 '내려'
힘든 노동으로 지친 할머니의 자조섞인 푸념 ' 내 팔자여 내팔자여'
그리고 소가 마지막 가는 날 일어나지 않은 소를 두고 '에이씨..' ' 좋은데 가거라이...'
아마도 촬영하는 과정에서 잊지 못할 에피소드도 많이 있었을 것이다
넷째, 이 영화를 통해서 농촌의 심각한 노인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일에 중독이 걸린 사람들, 하루라도 일을 하지 않으면 살 수가 없다
날만 새면 몸이 아파도 소용이 없다
어릴적 침을 잘못맞아 쇠약할대로 쇠약한 다리를 이끌고
쟁기질이며, 써레질이며, 꼴 베러 들로 산으로 그리고 한짐씩 나무며 꼴이며 인정사정 불 것 없이 일에 마취된 사람처럼 빠진다
워낙 몸이 아프면 그때서야 가까운 병원을 찾는 것이 고작이다 그리고 다시 일터로...
시골의 주거환경은 열악하다
다섯째, 시골의 삶은 자연과 함께 하는 삶이다
소도 마찬가지다. 시골에서 가축은 사람과 늘 같이 생할해 왔다
소,개, 닭, 돼지, 염소, 오리 등등 그들이 배웅하고 그들이 마중하는 삶을 시골사람들은 살아 왔다
근간에 애완용 동물들을 많이 키우고 있지만 그 옛날의 시골사람들은 동물들과 생활을 같이 하였다
촌놈 역시 어릴적 개를 판다는 얘기를 듣고 개장수 올때쯤 개를 데리고 산으로 피했다가 부모님한테 혼 났던 것이 생각 난다
다큐멘터리형식의 영화가
2월말로 관객동원 2백만명이 넘었다니 가히 기적적이다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 사람들의 맘을 움직였음이다
관객들이 대부분 젊은 층보다는 장년층이 주류를 이루는 걸 보면
고향에 대한 추억, 어릴 적 추억을 영화를 통해서 더듬어 보려는 관객들의 욕심아니었을까
각박한 세상살이, 더구나 이래저래 어렵다는 실물 경제의 답답함의 돌파구를 관객들은 이 영화에서 찾으려 하고 있다.
'영화.드라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극에서 극, 박쥐(Thirst) (0) | 2009.05.18 |
---|---|
내조의 여왕 (0) | 2009.05.06 |
최후의 결전 - 적벽대전2 (0) | 2009.02.01 |
미인도 (0) | 2008.12.01 |
줄거리 없는 코메디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0) | 2008.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