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한 우리사회의 공공의 적 어린이 납치 범죄,
따라서 새 정부 들어서면서 4대 악질 범죄와 전쟁을 선포하고 그 척결에 나섰다
이 시기에 맞춰 어린이 납치 사건을 다룬 영화 '몽타주'가 상영되고 있다
뿌리까지 캐려는 한 형사의 각고의 노력과 딸을 잃고 반 미치광이 되어 오직 딸의 납치 범인 만을 쫓는 한 여인의 한 매친 절규
이 영화는
15년 전 사라진 범인, 그 사건과 아주 유사한 15년 후 반복되는 사건, 마침내 찾아온 결정적 순간! 그러나 15년 전, 한 유괴범이 종적을 감춘다.
범인은 공소시효가 끝나기 5일 전, 반성인지 조롱인지 사건현장에 꽃 한 송이를 갖다 놓는다.
그로부터 며칠 후 15년 전 사건과 매우 유사한 범죄가 되풀이 되고...
눈 앞에서 손녀를 잃어버린 할아버지와 15년 전 범인을 찾아 헤맨 엄마 15년간 미제사건에 인생을 건 형사,
마침내 모두에게 결정적 순간이 찾아왔다! 그 놈을 잡아라! <몽타주>
경찰조차 포기해 버린 딸의 범인을 15년간 쫓아 응징하려는 어머니 하경 역에 엄정화
애타는 엄마의 심정을 이해하고 사건 수사를 포기하자는 지휘부의 지시도 무시한 채 오직 한 사건에만 매달리는 15년의 공소시효 전 해결하려는
형사 청호역에 김상경이 맡았다
그리고 손녀 딸을 잃버버린 애타는 할애비로, 선천성 지병을 앓는 딸의 치료를 위해 범죄를 저지를 수밖에 없는 한철역의 송영창
실제 자식을 범인의 손에 맡기고 지내는 시간이말로 누구도 상상이 않되는 피를 말리는 초를 다투는 시간일 거다
믿었던 경찰수사도 답모 상태이고 시간이 흐르자 하나 둘 그 엄청난 범죄도 사람들 뇌리에서 사라져 가건만 딸을 잃은 엄마는 더 생생하다
당장이라도 문을 열고 들어 올 것만 같은 상상과 착각속에 범인을 쫓으며, 딸이 조용히 누워 있는 수목장을 찾아 매번 세탁한 새 운동화를 가져다 준다
끈질긴 수사의 종착역,
범인이 압축되자 몽타주가 잘못 작성되었다는 것을 발견한 청호(김상경), 거기에는 손녀를 잃고 애타고 있는 한철(송영창 분)이 있었다
그러나 한철은 자신도 소녀를 납치한 범인의 지시에 따라 행동 했을 뿐이라는 것
따라서 자신은 범인이 아니라고 강변하지만 여러가지 정황상 경찰은 한철을 자신의 손녀를 납치한 범인으로 단정하고 구속해 버린다
인간은 순간의 범죄를 저질러 놓고 또 다시 그 곳을 찾아 가는 습성이 있나보다
이 복귀성이 자신의 죄를 반성하건 무의식적인 건에 관계없이....
딸을 납치하고 현금을 요구 그 돈까지 가져가면서도 딸을 죽인 범인을 하경은 끊을 수 없는 모성애로 잡아내고
자신의 손녀를 스스로 납치하고 돈을 요구한 범인으로 몰아 자신의 원수를 갚아내는 현경(엄정화 분)
런 타임 내내 누가 범인인지 어디서 단서가 나올 지 누구도 장담할 수 없다
아이를 잃고 울부짖는 우리네 어머니의 심정과 모습을 봐야 하고 같이 흥분하고 치를 떨어야 한다.
자신의 아이는 귀하고 남의 집 아이는 귀하지 않다는 왜곡된 사회적 시각도 이 영화를 통해서 바로 잡아야 한다.
또한 이런 악질 범죄자에 대해서는 요즘 화두가 되고 있는 전두환 전 대통령의 추징금 연장법처럼
악질범죄에 대한 소멸시효가 없어야 하고 세월이 흘러 갔던 공공의 적에게는 그 댓가에 맞는 처벌을 해야한다는 결론을 내렸으면 한다
악랄한 범죄에 대해 시간이 가고나면 처벌을 할 수 없는 면죄부를 주는 소멸시효 제도에 대한 재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그러나 아쉬운 것은 엄정화의 감정 표현이 어쩌면 조금은 어설퍼 아이를 잃은 엄마의 감정이 실리지 않은 연기가 극적 효과를 키울 수 있는 여지를 없게 만들었던 것은 아닌지 아쉬운 대목이다.
'영화.드라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간이 멈춰버린 도시, 폼페이 (0) | 2014.02.23 |
---|---|
창작 오페라 '루갈다' (0) | 2013.10.20 |
영원한 동지는 없다. 영화 '신세계' (0) | 2013.03.10 |
찡한 감동'7번방의 선물' (0) | 2013.03.01 |
영화 '26년' (0) | 2012.12.23 |